본문 바로가기
지구 살아가는 이야기/이슈 & 정보

어머니날 , 어버이날 언제부터 일까요 ?

by 마로☆* * 2020. 4. 27.
반응형

 

얼마 있으면 어버이날이죠.

오늘은 어버이날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어버이날은 어머니날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머니날은 1955년 8월 국무회의에서 5월 8일을 어머니날로 정했고 다음 해인 1956년 5월 8일 제1회 어머니날 행사가 열렸다고 합니다. 

 

물론 그 이전 일제 강점기인 1928년부터 국가 주도나 전국단위는 아니지만 소년단체나 기독교 단체 , 여성단체 등에서 소규모로 어머니날 행사를 열었고 이때는 5월 둘째 주 일요일이었다고 합니다.

 

그럼 왜 아버지는 빼고 어머니날이라고 정했을까요? 

한국전쟁으로 10만 명 가량의 전쟁고아, 30만 명이 넘는 전쟁미망인과 그들이 홀몸으로 돌보아야 할 100만 명이 넘는 아이들, 부상으로 활동 능력을 잃은 아버지들이 생겼고 이들에 대한 국가의 복지 정책은 있으나 마나 한 형편이었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을 기르고 먹여 살리는 일은 여성들이 도맡아야 했다. 어머니날 행사는 그런 어머니의 책임을 강조하는 방편이었습니다.    
[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

지나친 비약일 수도 있으나 한 마디로

"나라는 해줄 게 없으니 엄마들의 정신력으로 책임감을 갖고 아이들을 잘 키워내라!! " 

처음 시작은 뭐 이런 사상교육차원에서 국가 기념일로 지정한 거 같습니다.

그래서 어렵게 자식을 키워 훌륭한 인물을 만든 어머니에게 "장한 어머니상" 이런 상도 만들어서 수여하고 그랬나 봅니다. 

 

어머니날을 어버이날로 변경한것은 1973년입니다.

1956년부터 5월 8일을 ‘어머니날’로 지정하여 행사를 해오는 과정에서 ‘아버지의 날’이 거론된 부분도 있지만 일부분은 유신이라는 사회상과 정치적인 면도 있었습니다.

어버이날’로의 변경은 효와 경로사상을 전 국민을 상대로 교육해 그 실천을 높이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효’의 강조는 전통 가치에 기대어 가부장의 권위를 높일 수 있었고 가부장에 대한 효는 국가에 대한 충성으로, 나아가 유신 체제의 정당화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가부장에 대한 섬김은 국가의 안정과 행복을 위해 국가의 가부장인 대통령이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논리로 정당화했다. 즉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처럼 국가에도 충성하라고 강조했던 겁니다.
[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

박정희의 유신  " 너는 다 계획이 있었구나!! "

 

이상 어머니날과 어버이날에 대해 조금 알아봤습니다. 포스팅을 준비하며 저도 공부가 되니 뭔가 뿌듯하네요.

 

" 야 ~ 야 ~ 꽃은 뭐하고 선물은 뭐한다냐!! "

" 차 막히는데 안 와도 된다 ~ "

" 돈은 뭐하러 보내냐! 그 돈으로 손주들 옷이나 사줘라 ~ "

 

이런 말은 절대 믿지 마시고요. ㅋㅋ

어버이날 유래가 어찌 됐든 어른을 공경하고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은 기본이고 당연한 일이니 빨리 빨리 서둘러 선물들을 준비하세요. ^^

 

오늘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댓글도 많이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댓글